에스토니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에스토니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Sinisärgid" (푸른 셔츠)라는 별칭으로 불리며, UEFA 여자 네이션스 리그 C에 참가한다. FIFA 여자 월드컵 본선에는 진출한 적이 없으며, UEFA 유럽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예선에서는 부진한 성적을 거두었지만, 여자 발틱컵에서는 12번의 우승으로 최다 우승국 타이틀을 보유하고 있다. 아나스타샤 모르코프키나가 최다 출장 및 최다 득점 선수이며, 2024년 8월 기준 FIFA 여자 랭킹은 107위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에스토니아의 축구 - 에스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에스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에스토니아를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1920년 첫 경기를 치렀고, 월드컵이나 유럽 선수권 대회 본선 진출 기록은 없으나, 소련 강제 병합 후 해체되었다가 독립 회복 후 복귀하여 2024년 발트컵에서 우승했으며, 홈 경기장은 탈린의 릴레퀴라 경기장이다. -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인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인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인도를 대표하는 팀으로, AFC 여자 아시안컵 준우승 등의 초기 성적 이후 침체기를 겪었으나, SAFF 여자 챔피언십 4연패 등으로 부활했으나, FIFA 여자 월드컵과 올림픽 본선 진출은 아직 이루지 못했으며, 현재 주장은 Loitongbam Ashalata Devi이다. -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이라크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이라크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2010년 아라비아컵으로 국제 무대에 데뷔했으나, 국제 대회 성적은 저조하고 AFC 여자 아시안컵 및 FIFA 여자 월드컵 본선 진출에 실패했으며, 정보 부족으로 선수 명단이나 코칭 스태프에 대한 자세한 정보 접근이 제한적이다.
에스토니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별칭 | 시니섀르기 (Sinisärgid, 푸른 셔츠) |
협회 | 에스토니아 축구 협회(EJL) |
연맹 | 유럽 축구 연맹(UEFA) |
감독 | 아나스타시아 모르코브키나 시르예 카퍼 |
주장 | 카이리 히마넨 |
최다 출장 선수 | 케티 윈푸 (116) |
최다 득점자 | 아나스타시아 모르코브키나 (40) |
홈 경기장 | 릴레퀼라 스타디움 |
FIFA 코드 | EST |
FIFA 랭킹 | |
최고 랭킹 | 71 |
최고 랭킹 날짜 | 2013년 12월 |
최저 랭킹 | 111 |
최저 랭킹 날짜 | 2022년 6월 |
유니폼 | |
첫 경기 | |
첫 경기 정보 | 리투아니아 3–0 에스토니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카우나스, 리투아니아; 1994년 8월 19일) |
최고 승리 | |
최고 승리 정보 | 라트비아 1–7 에스토니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샤울랴이, 리투아니아; 2010년 5월 15일) 에스토니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6–0 라트비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타르투, 에스토니아; 2012년 6월 10일) 에스토니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8–2 라트비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탈린, 에스토니아; 2014년 3월 1일) |
최고 패배 | |
최고 패배 정보 | 아이슬란드 12–0 에스토니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레이캬비크, 아이슬란드; 2009년 9월 17일) 프랑스 12–0 에스토니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르아브르, 프랑스; 2009년 10월 28일) |
웹사이트 | |
기타 정보 | |
유형 | 여자 |
2. 국제 대회 경력
=== FIFA 여자 월드컵 ===
예선 기록 | |||||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6 | 1 | 0 | 5 | 6 | 31 |
8 | 0 | 0 | 8 | 4 | 36 |
6 | 1 | 1 | 4 | 6 | 18 |
10 | 3 | 1 | 6 | 7 | 44 |
10 | 2 | 1 | 7 | 8 | 33 |
3 | 0 | 0 | 3 | 1 | 7 |
10 | 2 | 0 | 8 | 7 | 43 |
53 | 9 | 3 | 41 | 39 | 212 |
=== 올림픽 축구 ===
=== UEFA 유럽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
UEFA 여자 선수권 대회 기록 | rowspan=3| | 예선 기록 | |||||||||||
---|---|---|---|---|---|---|---|---|---|---|---|---|---|
연도 | 결과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1984 | 불참 | 불참 | |||||||||||
1987 | |||||||||||||
1989 | |||||||||||||
1991 | |||||||||||||
1993 | |||||||||||||
1995 | |||||||||||||
1997 | 예선 탈락 | 0|0|6|0|43 | |||||||||||
2001 | 0|0|8|6|38 | ||||||||||||
2005 | 1|1|4|6|26 | ||||||||||||
2009 | 0|0|3|2|13 | ||||||||||||
2013 | 0|0|8|5|31 | ||||||||||||
2017 | 0|0|8|0|33 | ||||||||||||
2022 | 0|1|9|1|40 | ||||||||||||
2025 | 예선 진행중 | 0|2|2|3|6 | |||||||||||
2029 | 미정 | 미정 | |||||||||||
합계 | 0 | 0 | 0 | 0 | 0 | 0 | 1|4|48|23|230 |
=== 여자 발틱컵 ===
발트 여자컵
- '''우승 (12회):''' 2003, 2004, 2005, 2006, 2008, 2009, 2010, 2012, 2013, 2014, 2022, 2024
개최 연도 | 결과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96 | 2 | 0 | 1 | 1 | 1 | 2 | |
1997 | 3위 | 2 | 0 | 0 | 2 | 0 | 3 |
1998 | 준우승 | 2 | 1 | 0 | 1 | 3 | 2 |
2000 | 3위 | 2 | 0 | 1 | 1 | 1 | 5 |
2003 | 우승 | 2 | 1 | 1 | 0 | 5 | 1 |
2004 | 우승 | 2 | 2 | 0 | 0 | 8 | 2 |
2005 | 우승 | 2 | 1 | 0 | 1 | 5 | 3 |
2006 | 우승 | 2 | 2 | 0 | 0 | 8 | 2 |
2007 | 준우승 | 2 | 1 | 0 | 1 | 5 | 5 |
2008 | 우승 | 2 | 2 | 0 | 0 | 7 | 2 |
2009 | 우승 | 2 | 2 | 0 | 0 | 6 | 0 |
2010 | 우승 | 2 | 2 | 0 | 0 | 10 | 2 |
2011 | 준우승 | 2 | 1 | 0 | 1 | 3 | 2 |
2012 | 우승 | 2 | 2 | 0 | 0 | 9 | 0 |
2013 | 우승 | 2 | 1 | 1 | 0 | 4 | 0 |
2014 | 우승 | 2 | 2 | 0 | 0 | 7 | 0 |
2015 | 준우승 | 2 | 1 | 1 | 0 | 2 | 1 |
2016 | 4위 | 3 | 0 | 2 | 1 | 3 | 5 |
합계 | 18/18 | 37 | 20 | 8 | 9 | 87 | 37 |
에스토니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현재까지 FIFA 여자 월드컵과 UEFA 유럽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본선에 진출한 기록은 없다. 하지만 여자 발틱컵에서는 12번 우승하여 최다 우승국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
2. 1. FIFA 여자 월드컵
에스토니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현재까지 FIFA 여자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기록이 없다. 1991년과 1995년 대회에는 불참했으며, 1999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에 처음 참가한 이후 계속해서 예선 탈락했다. 2011년 FIFA 여자 월드컵 유럽 지역 예선에서는 3승 1무 6패로 역대 최다 승점을 기록하기도 했다.예선 기록 | |||||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6 | 1 | 0 | 5 | 6 | 31 |
8 | 0 | 0 | 8 | 4 | 36 |
6 | 1 | 1 | 4 | 6 | 18 |
10 | 3 | 1 | 6 | 7 | 44 |
10 | 2 | 1 | 7 | 8 | 33 |
3 | 0 | 0 | 3 | 1 | 7 |
10 | 2 | 0 | 8 | 7 | 43 |
53 | 9 | 3 | 41 | 39 | 212 |
2. 2. 올림픽 축구
2. 3. UEFA 유럽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
에스토니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UEFA 유럽 여자 축구 선수권 대회(여자 유로) 본선에 진출한 적이 없다.UEFA 여자 유로 1997 예선을 통해 첫 메이저 대회 예선에 참가한 이후 UEFA 여자 유로 2005 예선 B그룹 6조 3차전에서 카자흐스탄을 상대로 1승 1무를 기록하며 유로 대회 예선 첫 승점(4점)을 따냈다.[1] 그러나 이 대회 예선을 제외한 나머지 대회 예선에서는 1무 42패의 저조한 성적을 기록했다.[1]
UEFA 여자 선수권 대회 기록 | rowspan=3| | 예선 기록 | |||||||||||
---|---|---|---|---|---|---|---|---|---|---|---|---|---|
연도 | 결과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1984 | 불참 | 불참 | |||||||||||
1987 | |||||||||||||
1989 | |||||||||||||
1991 | |||||||||||||
1993 | |||||||||||||
1995 | |||||||||||||
1997 | 예선 탈락 | 0|0|6|0|43 | |||||||||||
2001 | 0|0|8|6|38 | ||||||||||||
2005 | 1|1|4|6|26 | ||||||||||||
2009 | 0|0|3|2|13 | ||||||||||||
2013 | 0|0|8|5|31 | ||||||||||||
2017 | 0|0|8|0|33 | ||||||||||||
2022 | 0|1|9|1|40 | ||||||||||||
2025 | 예선 진행중 | 0|2|2|3|6 | |||||||||||
2029 | 미정 | 미정 | |||||||||||
합계 | 0 | 0 | 0 | 0 | 0 | 0 | 1|4|48|23|230 |
2. 4. 여자 발틱컵
에스토니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은 여자 발틱컵에서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다. 1996년 첫 대회부터 현재까지 우승 12회, 준우승 5회를 기록하며 여자 발틱컵 최다 우승국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발트 여자컵
- '''우승 (12회):''' 2003, 2004, 2005, 2006, 2008, 2009, 2010, 2012, 2013, 2014, 2022, 2024
개최 연도 | 결과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1996 | 2 | 0 | 1 | 1 | 1 | 2 | |
1997 | 3위 | 2 | 0 | 0 | 2 | 0 | 3 |
1998 | 준우승 | 2 | 1 | 0 | 1 | 3 | 2 |
2000 | 3위 | 2 | 0 | 1 | 1 | 1 | 5 |
2003 | 우승 | 2 | 1 | 1 | 0 | 5 | 1 |
2004 | 우승 | 2 | 2 | 0 | 0 | 8 | 2 |
2005 | 우승 | 2 | 1 | 0 | 1 | 5 | 3 |
2006 | 우승 | 2 | 2 | 0 | 0 | 8 | 2 |
2007 | 준우승 | 2 | 1 | 0 | 1 | 5 | 5 |
2008 | 우승 | 2 | 2 | 0 | 0 | 7 | 2 |
2009 | 우승 | 2 | 2 | 0 | 0 | 6 | 0 |
2010 | 우승 | 2 | 2 | 0 | 0 | 10 | 2 |
2011 | 준우승 | 2 | 1 | 0 | 1 | 3 | 2 |
2012 | 우승 | 2 | 2 | 0 | 0 | 9 | 0 |
2013 | 우승 | 2 | 1 | 1 | 0 | 4 | 0 |
2014 | 우승 | 2 | 2 | 0 | 0 | 7 | 0 |
2015 | 준우승 | 2 | 1 | 1 | 0 | 2 | 1 |
2016 | 4위 | 3 | 0 | 2 | 1 | 3 | 5 |
합계 | 18/18 | 37 | 20 | 8 | 9 | 87 | 37 |
Sinisärgid|시니섀르기드et(푸른 셔츠)라는 별명으로 알려져 있다.
3. 팀 이미지
3. 1. 별명
Sinisärgid|시니섀르기드et(푸른 셔츠)라는 별명으로 알려져 있다.
4. 선수
다음은 지난 12개월 동안 대표팀에 소집된 선수들이다.
포지션 | 선수 | 소속팀 | 최근 소집 |
---|---|---|---|
GK | 케이티 크루스만 | 탐메카 | v.|v.영어 이스라엘, 2023년 12월 5일 |
DF | 크리스티나 툴루스 | 플로라 | 2024 터키 여자컵 |
DF | 제시카 울렉신 | 플로라 | v.|v.영어 이스라엘, 2023년 12월 5일 |
DF | 헬리나 타르크멜 | 탈린 FC 플로라 | v.|v.영어 룩셈부르크, 2024년 7월 16일 |
MF | 리산드라 라나스토 | 사쿠 스포팅 | v.|v.영어 알바니아, 2024년 4월 9일 |
MF | 크리스티나 반니코바 | 사쿠 스포팅 | v.|v.영어 이스라엘, 2023년 12월 5일 |
MF | 야니카 볼코프 | 플로라 | v.|v.영어 이스라엘, 2023년 12월 5일 |
MF | 레나테-리 메헤베츠 | 탐메카 | v.|v.영어 룩셈부르크, 2024년 7월 16일 |
FW | 마리아 오라브 | JK 탈린나 칼레브 | v.|v.영어 알바니아, 2024년 4월 9일 |
FW | 게테르 사르 | 플로라 | v.|v.영어 이스라엘, 2023년 12월 5일 |
FW | 엠마 트레이베르그 | 사쿠 스포팅 | v.|v.영어 룩셈부르크, 2024년 7월 16일 |
대표팀 최다 출장 및 최다 득점 선수는 Anastassia Morkovkina|아나스타시아 모르코프키나영어이다.
4. 1. 선수 기록
2024년 10월에 열리는 2024년 여자 발트컵에 참가할 선수들이 발표되었다.[3] 알바니아와의 경기가 끝난 2024년 5월 31일 기준으로 출전 경기 수와 골 기록이 업데이트되었다.포지션 | 선수 | 출장 경기 수 | 골 | 소속팀 |
---|---|---|---|---|
GK | 카리나 코르크 | 44 | 0 | 타바살루 |
GK | 빅토리아 비흐만 | 1 | 0 | 플로라 |
GK | 리이사 리이메츠 | 0 | 0 | 비임시 JK |
DF | 시레트 래멧 | 12 | 0 | 플로라 |
DF | 켈리 로젠 | 81 | 1 | 플로라 |
DF | 마르야 사우레프 | 26 | 1 | 플로라 |
DF | 라헬 렙킨 | 15 | 0 | 타메카 |
DF | 에바-마리아 니이트 | 11 | 0 | 타메카 |
DF | 안네그레트 칼라 | 10 | 1 | 타메카 |
DF | 그레테 크라우스 | 0 | 0 | 타메카 |
MF | 카이리 히마넨 | 77 | 6 | 사쿠 스포팅 |
MF | 마리 리스 릴레매에 | 53 | 2 | 플로라 |
MF | 리이사 메리살루 | 35 | 3 | 타메카 |
MF | 그레테 다우트 | 25 | 0 | 사쿠 스포팅 |
MF | 야아니카 볼코프 | 17 | 0 | 탈린나 FC 플로라 |
MF | 카트린 키르푸 | 12 | 1 | HJK |
DF | 아네테 살레이 | 8 | 1 | 타바살루 |
FW | 알렉산드라 켈리 | 0 | 0 | 타르투 JK 타메카 |
FW | 리세테 탐미크 | 70 | 15 | 플로라 |
FW | 블라다 쿠바소바 | 70 | 11 | 페렌츠바로시 토르나 클럽 |
FW | 크리스티나 테에른 | 7 | 0 | 플로라 |
FW | 카트린 사울루스 | 4 | 0 | 사쿠 스포팅 |
FW | 키르켈리스 릴레메츠 | 3 | 0 | 타르투 JK 타메카 |
대표팀 최다 출장 및 최다 득점 선수는 Anastassia Morkovkina|아나스타샤 모르코프키나영어이다.
4. 1. 1. 최다 출장 선수
'''굵은''' 글씨로 표시된 선수는 현재 에스토니아에서 활동하고 있다.순위 | 선수 | 경력 | 출장 경기 수 | 골 |
---|---|---|---|---|
1 | 케티 으운푸 | 2005–2022 | 116 | 3 |
2 | 카트린 로오 | 2007–2020 | 114 | 20 |
3 | 카이레 팔마루 | 2001–2019 | 107 | 10 |
시그니 아르나 | 2007–2023 | 107 | 26 | |
5 | 크리스티나 반니코바 | 2013–2023 | 103 | 9 |
6 | 인나 키스-즐리드니스 | 2007–2023 | 99 | 0 |
7 | 필레 라아딕 | 2007–2021 | 88 | 0 |
8 | 켈리 로젠 | 2014–현재 | 81 | 1 |
9 | 카이리 히마넨 | 2009–현재 | 77 | 6 |
10 | 아나스타시아 모르코프키나 | 1997–2015 | 75 | 40 |
4. 1. 2. 최다 득점 선수

순위 | 선수 | 활동 기간 | 골 | 출장 수 | 평균 |
---|---|---|---|---|---|
1 | 아나스타샤 모르코프키나 | 1997–2015 | 40 | 75 | 0.53 |
2 | 시그니 아르나 | 2007–2023 | 26 | 107 | 0.24 |
3 | 카트린 로오 | 2007–2020 | 20 | 114 | 0.18 |
4 | 아베 파요 | 2000–2010 | 19 | 40 | 0.48 |
5 | 리세테 탐미크 | 2015–현재 | 15 | 70 | 0.21 |
6 | 블라다 쿠바소바 | 2013–현재 | 11 | 70 | 0.16 |
7 | 카이레 팔마루 | 2001–2019 | 10 | 107 | 0.09 |
8 | 카이디 예키모바 | 2000–2014 | 9 | 68 | 0.13 |
크리스티나 반니코바 | 2013–2023 | 9 | 103 | 0.09 | |
10 | 레엘리카 바헤르 | 1994–2006 | 8 | 47 | 0.17 |
Anastassia Morkovkina|아나스타샤 모르코프키나영어 (대표팀 최다 출장 및 최다 득점 선수)
4. 2. 현재 선수 명단
2024년 10월에 열리는 2024년 여자 발트컵에 참가할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3]포지션 | 이름 | 생년월일 | 소속 클럽 | |
---|---|---|---|---|
GK | 카리나 코르크 | Karina Kork|카리나 코르크et | 1995년 2월 23일 | 타바살루 |
GK | 빅토리아 비흐만 | Viktoria Vihman|빅토리아 비흐만et | 2004년 8월 5일 | 플로라 |
GK | 리이사 리이메츠 | Liisa Liimets|리이사 리이메츠et | 2006년 4월 4일 | 비임시 JK |
DF | 시레트 래멧 | Siret Räämet|시레트 래멧et | 1999년 12월 31일 | 플로라 |
DF | 켈리 로젠 | Kelly Rosen|켈리 로젠et | 1995년 11월 23일 | 플로라 |
DF | 마르야 사우레프 | Maarja Saulep|마르야 사우레프et | 1991년 5월 9일 | 플로라 |
DF | 라헬 렙킨 | Rahel Repkin|라헬 렙킨et | 1998년 6월 17일 | 타메카 |
DF | 에바-마리아 니이트 | Eva-Maria Niit|에바-마리아 니이트et | 2002년 2월 5일 | 타메카 |
DF | 안네그레트 칼라 | Annegret Kala|안네그레트 칼라et | 2006년 5월 3일 | 타메카 |
DF | 그레테 크라우스 | Grete Kraus|그레테 크라우스et | 2005년 12월 14일 | 타메카 |
MF | 카이리 히마넨 | Kairi Himanen|카이리 히마넨et | 1992년 11월 11일 | 사쿠 스포팅 |
MF | 마리 리스 릴레매에 | Mari Liis Lillemäe|마리 리스 릴레매에et | 2000년 9월 1일 | 플로라 |
MF | 리이사 메리살루 | Liisa Merisalu|리이사 메리살루et | 2002년 1월 15일 | 타메카 |
MF | 그레테 다우트 | Grete Daut|그레테 다우트et | 2000년 1월 4일 | 사쿠 스포팅 |
MF | 야아니카 볼코프 | Jaanika Volkov|야아니카 볼코프et | 2005년 5월 20일 | 탈린나 FC 플로라 |
MF | 카트린 키르푸 | Katrin Kirpu|카트린 키르푸et | 2004년 10월 9일 | HJK |
MF | 아네테 살레이 | Anete Salei|아네테 살레이et | 2005년 9월 28일 | 타바살루 |
MF | 알렉산드라 켈리 | Aleksandra Kelli|알렉산드라 켈리et | 2006년 8월 11일 | 타르투 JK 타메카 |
FW | 리세테 탐미크 | Lisette Tammik|리세테 탐미크et | 1998년 10월 14일 | 플로라 |
FW | 블라다 쿠바소바 | Vlada Kubassova|블라다 쿠바소바et | 1995년 8월 23일 | 페렌츠바로시 토르나 클럽 |
FW | 크리스티나 테에른 | Kristina Teern|크리스티나 테에른et | 2004년 11월 13일 | 플로라 |
FW | 카트린 사울루스 | Katrin Saulus|카트린 사울루스et | 2003년 7월 5일 | 사쿠 스포팅 |
FW | 키르켈리스 릴레메츠 | Kirkeliis Lillemets|키르켈리스 릴레메츠et | 2005년 12월 17일 | 타르투 JK 타메카 |
5. 코칭 스태프
직책 | 이름[2] |
---|---|
감독 | 아나스타시아 모르코프키나 |
시르예 카퍼 | |
골키퍼 코치 | 마르틴 칼마 |
피트니스 코치 | 마르텐 메츠니이트 |
팀 닥터 | 비르기트 알메레 |
물리 치료사 | 라우라 에르니츠 |
카이린 토메라 | |
매니저 | 라일리-라인 엘레르마 |
6. 최근 경기 결과 및 일정
(승부차기 3-1)